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부24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

by 매일매일성장하기 2024. 4. 28.
반응형

이사를 하셨다면 새로운 거주지에 전입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주소지변경과 등록을 하여야 하는데요.

만약 신고를 하지 않는다면 주택임대차 보호를 받을 수 없고 5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되며 만약 경매로 집이 넘어갔을 경우 보증금을 보호받을 수 없습니다. 

정부24 홈페이지에서 24시간 전입신고가 가능하니 오늘 포스팅 잘 숙지하셔서 이사 당일에 전입신고 꼭 하시길 바랍니다.

 

정부24 전입신고 바로가기

1.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

▶PC로 신청하는 경우

①정부24 홈페이지(http://www.gov.kr)에 접속합니다.

②로그인하신 후 아래 화면에서 신고하기 버튼을 눌러 주세요.

③인증서 인증을 한 후 1단계 신청인 정보를 입력 후 다음단계 버튼을 눌러줍니다.

④2단계 이사 오기 전 거주하던 곳의 정보를 입력 후 다음단계 버튼을 눌러줍니다.

⑤마지막 3단계 새로 이사 온 곳의 정보를 입력 후 전입신고와 함께 신청할 서비스들까지 선택 후 민원신청하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신청이 완료됩니다.

 

※전입신고와 함께 신청가능한 서비스

-이·통장 등의 전입신고 사후확인 생략을 위한 서류 제출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

-초등학교 배정정보 신청

-전기사용자 명의변경 신청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위한 요금감면 일괄신청

 

전입신고 처리시간은 평일 근무시간(9시~18시) 내 최대 3시간 안에 신청 처리가 완료되며 신청내역 카테고리에 들어가서 처리상태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평일 오후 6시 이후나 토요일, 공휴일에 신청하는 경우 다음 근무일에 신청이 접수되어 처리되니 이 또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온라인 전입신고가 불가능한 경우

-신청인이 미성년자(만 19세 미만)인 경우 불가능합니다.

-기존 세대가 살고 있는 곳에 별도로 세대를 구성하여 2세대 이상인 경우 불가능합니다.

-미성년자가 포함된 전입신고의 경우 전출지 세대주가 인증서를 통해 온라인으로 세대주 확인을 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온라인으로 전입신고가 불가능합니다.

3. 전입신고 필요서류

▶인터넷 신고시

이사한 사람이 신청해야 하며 인증서가 필요합니다.(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등)

 

▶방문 신고 시

거주지 읍·면사무소나 동주민센터에서 방문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신청하는 경우

신분증(주민등록증, 청소년증, 운전면허증, 국가유공자증, 장애인등록증(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된 경우만 해당), 여권

-대리인이 신청하는 경우

대리인의 신분증, 위임장, 위임인의 신분증, 신청 자격 증명 자료

 

4. 전입신고 Q&A

Q. 전입신고 후 취소가 가능한가요?

A. 전입신고 시 잘못 기재한 사항에 대해서는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유효하지 않는 정보로 잘못 기재한 경우 해당기관에서 담당자가 반려처리 한 후 재신청이 가능하나 유효한 정보로 기재되어 해당기관에서 담당자가 처리완료를 한 경우에는 직접 행정기관에 방문하여 재신청하여야 합니다.

※온라인 전입신고가 처리완료 된 당일에는 전입신고 재신청이 불가능합니다.

 

Q. 온라인 전입신고 처리가 완료되었는데 처리결과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A. 전입신고 담당자가 전입처리를 완료한 후 시스템 간 자료 동기화를 위해 약간의 시간(최대 10분)이 소요됩니다.

10분 정도 후에 다시 시도하시면 되겠습니다.

 

Q. 전입지 세대주 확인까지 완료되었는데 처리상태가 미접수로 확인됩니다.

A. 세대주가 아닌 세대원이 세대주를 포함하여 온라인 전입신고를 하는 경우나 만 19세 미만의 세대원을 포함하여 전입신고를 하는 경우 전출지 세대주도 세대주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런 경우 전출지 세대주가 신분증을 소지하고 전입지 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온라인 세대주 확인을 해야 접수상태로 변경됩니다. 

※전출지 세대주 확인은 전입지에서만 가능합니다.

 

5. 전입신고 완료 후 확인해야 할 사항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처리할 사항

-주민등록증뒷면정리

-자녀의 취학통지서(학교배정) 수령

▶중학교 전학(편입학) 배정신청

-다니던 학교의 재학증명서 수령

-지방교육청 방문 후 학교 배정

-배정받은 학교에 배정통지서 접수

▶고등학교전학(편입학) 배정신청(단, 인문계 평준화지역)

-고등학교배정

-시도교육청, 재적학교

 

오늘은 인터넷 전입신고 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